cloud/k8s(문제풀이)
[따배쿠CKA]9. Node 관리
mozi2
2022. 8. 9. 14:45
반응형
* Node 명령어 정리
-노드 목록 학인 가능
kubectl get nodes -o wide
- 더이상 특정 노드에 실행을 하지 말아주세요
Kubectl cordon [ node 이름 ] k8s-worker1
: scale 한 이후에 늘어나는 node 에 대해서도 모두 다른 노드에 실행을 할 수 있다.
- 다시 해당 Node 에 Pod 스케줄링 되게 하기
Kubectl uncordon [ node 이름 ] k8s-worker1
- pod 정리
kubectl drain [ node 이름 ] k8s-worker1
--ignore daemononsets : 뒤에 붙이면 완전히 삭제
: 해당되는 node 들에대한 모든 pod를 전부 삭제해줘, 스케줄링 금지
: controller 가 제어하고 있는 노드들은 그 옆 노드에 배치되어 실행하게 된다.
- NODE 다시 활성화
kubectl uncordon [활성화 시킬 node]
* 기존 node를 활성화 되었다고 해서 기존 node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.
Q. 작업 클러스터: k8s
Set the node named k8s-worker1 as unavailable and reschedule all the pods running on it.
1. 노드 확인
kubectl get nodes
2. k8s-wokrer1 노드 unavailable, 그리고 모든 파드들을 운영할 수 있게 함.
kubectl drain k8s-worker1 --ignore-daemonsets --force
*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
kubectl drain k8s-worker1 --ignore-daemonsets --force --delete-emptydir-data
3. 파드들을 확인하기
kubectl get pods
* 본 게시글은 "TTABAE-LEARN" 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728x90
반응형